Skip to content
2020.11.13 21:06

태껸의 종류

조회 수 322 추천 수 5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밑의 글들과 연결되는데 1984년에 송덕기 할아버지께서 TV에 출연하신적이 있음

선조의 수련이라는 프로그램인데 

거기에서 말하길 태껸에는 종류가 있다고 나옴.

위대태껸

아래대태껸

아이태껸

어른태껸

결연태껸

서기태껸 

이게 다 태껸의 종류인데 여기서 위대 와 아래대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무예로써 하잖아 

손도 쓰고 눈도 훑고 

밑에 댓글 쓴 사람이 한 말 처럼 시합에서 옛법을 쓰면 끌려가고 패싸움이 났다는게 저 태껸 종류 중에 어떤거야? 

설마 저 종류 모두에 해당되는건 아닐꺼아냐

FFDC2D2C-0DD5-4406-9DE0-14F3F36B98D9.png.jpg

73614ABC-9D6D-48FC-808D-32138B050D53.png.jpg

 

또 시합에서 쓰는걸 금지한걸 옛법이라고 한다는 기록이 도기현 회장님 저서 말고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해

교차검증을 하고싶거든 

송덕기 할아버지가 하신 말 중에 그런 말 못 들어봤어 

  • ?
    익명_48875148Best 2020.11.13 22:21

    "비밀글입니다."

  • ?
    익명_84786075Best 2020.11.13 22:48
    옛법을 단순한 기술적 표현 이외에 반칙 내지는 싸움수적 개념을 포함해 해석한 최초의 인물이 드래곤 리 총사임.
    그분 저서 이전엔 그 어떤 협회나 문헌들 가운데서도 지금과 같은 개념의 옛법이 부각되거나 한 적이 없었다. 택견 논문들 가운데 이거 지적한 논문도 있을걸?
  • ?
    익명_48875148 2020.11.13 22:21

    "비밀글입니다."

  • ?
    익명_84786075 2020.11.13 22:48
    옛법을 단순한 기술적 표현 이외에 반칙 내지는 싸움수적 개념을 포함해 해석한 최초의 인물이 드래곤 리 총사임.
    그분 저서 이전엔 그 어떤 협회나 문헌들 가운데서도 지금과 같은 개념의 옛법이 부각되거나 한 적이 없었다. 택견 논문들 가운데 이거 지적한 논문도 있을걸?

Powered by RhymiX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