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316추천 수 5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첨부

D0810BDA-37B8-4A86-8AEF-89BFB51CBF24.jpeg

 

내 게시물 https://yugakkwon.com/free/21920 

어느 누군가의 게시물

https://yugakkwon.com/free/21983

 

에 동의하는 사람이 많아서(댓글 추천으로 미루어서) 옳다는 전제하에 두번째 이야기를 진행도록할께

 

아래 게시물에서 본때를 보이는 거다 택견은 이라고 하면. 본때를 보여주는 선(따끔한 맛을 보여주는 정도)이 택견의 암묵적인 승패 요인이나 경기의 전제가 아닌가 싶어. 

 

따끔한 맛 보이는 것이 매우 주관성을 가질수도

상대성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이야

 

예를 들어

나름 전적있는 선수가 초짜인 상대를 만날 경우

 

현재 택견판 분위기를 미루어보거나 작은지역사회, 아마추어 동호회 경기나 견주기의 경우 라이트하게 하는 걸 알 수 있을꺼야

 

그럼 상대를 칠때 끊어주거나 가볍게 쳐서 실력차만 확인하는 방향이 설명이 되지

 

역으로 보면, 지금 현대 택견경기에선 이 전제 조건이 반대로 이용되거 실력으로 평가하는 거잖아?

 

이 지금

내 지금 예시는 설명하고 위와 같은 케이스는 배제하기 위해서 이야기했어. ㅎㅎㅎ 실험과 같이 동일하게 준비된 사람(아마추어든 프로든 엘리트든을 기준으로 가자고)

 

이런것이 지금의 택견판에서 택견다움(?)을 만드는 거지만 반대로 택견의 놀이화에 전제조건을 우연이든 의도적이든 이끈 부분 중에 하나라 보거든 

 

///// 다시 내가 하고 싶은 방향으로 돌아와서 ////

 

본때를 보인다는 기준을

동일한 실력자, 엇비슷한 조건의 선수끼리라고 전제한다면

 

* 어디까지가 선수들이 느끼는 본때를 보이는 선인가?

* 또한 관중이나 제3자가 명확하게 선수A가 선수B에게 본때를 보였다일까?

 

- 기술적 판가름 논의로 두기 전에 기술 기준을 둔다면 손질, 발질, 태질로 하고 토론 범위가 너무 커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운드 상황은 우선 이번 건에선 배제하도록 할게!

 

포인트 : 

+ 손질, 발질의 강도 / 타격가능부위

+ 태질의 사용 방법

+ 보호구여부

+ 멍석기준 넓이(이거 논란 있었지? 기술 범위에 따라)

+ 판정의 방법(얼굴 발질 승, ko, 제압타격 등)

 

본때를 보인다가 상대의 손을 짚게 만드는 것과 관련의 여부도 이와 같은 토론에서 방향이 잡히지 않을까 싶네

  • ?
    익명_42563840 2020.12.23 11:15

    제압이란 말로 치환되겠구만 ㅋㅋ 어렵게 생각하누. 현시대 무술경기 제압 레슬링 폴, 복싱 타격ko와 판정(우세방식), 태권도-가라데-검도 격자 타격 점수

     

    택견은 종합적 성격이니 타종목 참고해도 되겠구만. 룰이 같으면 같은대로 택견끼리하고 타종목도 가끔 오픈하면 되겠네.

  • ?
    익명_83420365 2020.12.23 21:20
    @익명_42563840 에게

    제압이라고 하면? 경기규칙에서 택견의 특징(스포츠로 가능성과 특징성)을 무엇(판정방법)이 중요하겠구만

  • ?
    익명_73850533 2020.12.23 16:19 Files첨부 (1)

    저런 해석이면 택견의 승패가 손을 짚게 만든다 = 자빠뜨린다 가 택견의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인 게 맞다고 생각함.

     

    보통 두 손을 땅에 짚게 되는 상황 자체가 크게 엉덩방아를 찧거나 앞으로 자빠져 버릴 때, 이 두가지 경우인데 이 두 경우의 공통점은 바로 주도권이 완벽하게 상대한테 넘어가버린 상황이란 거고,  
    더 이상 싸우기 싫어서 상대가 몸을 빼 버리던, 후속타로 스탬핑이 날아들던 상관없이 이미 그런 포지션에 있게 된 순간 상대의 행동을 내가 제약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진 상태란 얘기임.

     

    택견 경기가 아니라 저잣거리에서 벌어진 싸움이었으면 막말로 밟혀 죽었을 지도 모르는 상황인 거지.

     

    그래서 개인적으로(어디까지나 내 생각이지만) 가장 깔끔한 승부가 나는 경우가 딱 을용타 같은 모습이 나왔을 때가 아니었을까 싶음.

    을용타.jpg

    이렇게 승리한 사람은 서 있고, 쓰러진 사람은 저항할 수 없는 포지션으로 넘어져 있는 거임.

     

    태기질 싸움을 하다가 기술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으면 둘 모두 넘어져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면 분명하게 승기를 굳히는 포지션을 잡지 못할 때도 있고, 판정시비도 많이 생기는 편이니까 선수들 뿐만이 아니라 주변 관객들이 보기에도 가장 깔끔하게 승부가 났다. 즉, 본때를 보였다! 는 딱 을용타가 적당한 경우가 아니었을까 함.

     

    그리고 같은 맥락에서 위대에서 말하는 그라운드 기술이 있다, 같은 경우가 위에서 언급한 승기를 굳히는 포지션의 요령들을 말하는게 아닐까 싶음.

    둘 다 자빠진 상황이라면 확실하게 포지션을 굳혀서 상대를 제압하는 모습을 보여야 경기의 승패가 분명해질 거니까.

  • ?
    익명_83420365 2020.12.23 21:03
    @익명_73850533 에게

    을룡타로 못 끝내고 같이 넘어지면 무효처리로 하나 여타 스탠딩 타격무술들처럼?

  • ?
    익명_73850533 2020.12.23 22:22
    @익명_83420365 에게

    무효처리 하거나 그래도 넘어뜨린 게 맞긴 하니까 승패에 당장은 영향을 안 끼치더라도 경기가 승패가 나지 않고 무승부까지 갈 경우엔 넘어뜨린 측이 어드벤티지를 가지거나 하는게 괜찮지 않나 싶음.

  • ?
    익명_49797117 2020.12.24 22:41

    아하하 오브레임 신선해요


Powered by RhymiX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