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88추천 수 7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때를 보인다. 

 

사전으로 관용 표현을 본다면,

 

1. 본때를 보이다 - 다시는 잘못을 저지르지 못하게 하거나 교훈이 되도록 따끔한 맛을 보이다 는 뜻

2. 본때 - 본때는 본보기가 되거나 내세울 만한 것, 맵시나 모양새를 뜻하는 말로

 

이렇게 나오잖냐

 

그런데 충주택견의 신옹부터인거 같은데 

 

본때뵈기처럼 품새가 생기고 대한택견 결련택견에 영향을 미쳤나 하거든

 

결련은 자유 품새처럼 하기는 하지만

내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건 "본때뵈기(배운 기량을 보이는)"라는 개념이야

 

경기문화에서 이건 택견의 당연한 관습처럼 현재에는 정착된거 같기도 한데 결련택견을 볼땐

 

대한과 충주를 보면 현대 품새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거 같거든

 

위대에서는 본때뵈기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

 

관련 내용을 물어보니 몇 송옹 제자 분들은 그런거 들어도 못봤다고 하더라고 

 

경기전에 보인다는 것은 곰곰히 고민하다가 찾아보니 내 생각엔

 

본떼(본데)를 착각한게 아닌가하는 가능성을 둬봐

 

정리

 

3. 본데 - 보아서 배운 범절 이나 솜씨 또는 지식을 뜻하는 명사

로써 본데를 보인다거나

 

본때(2번 개념)라는 단어자체로 3번과 혼용으로 두고 임의적 해석을 한것이 아닐까해(찾아봐야겠지만 택견 체계를 무용, 씨름, 탈춤 구성을 참고한 정황도 있다지신한승 옹 측에서는(이미 결련 결연도 의견이 분분하다지?)이 부분에선 이 기준으로 생각하면 충주와 대한은 착오로 시작해서 창작 품새를 만들었다 하면 그렇다 쳐. 

 

그렇다면 경기전  본때를 보인다는 것은 결련소속 선생님들만 이 이야기를 따로 송 옹에게만 들은 건가...? 하면서 얼마전 여기서 논란이 된 논문을 찾아보니

 

또 나이가 어려서 요목죠목 묻지는 못하셨다네?

 

그렇다면 이건 어디서 누구에게 온거냐

  • ?
    익명_62747958 2020.12.22 11: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런 생각 나만 한거 아니었네 ㅋㅋㅋ

    그 동아리때 배우다 보면 까기가 같은 구성인데

    결련이 까기 영향인지 까기가 결련 영향인지 난 그럼 고민 한 적있다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뭔가 복잡미묘하다

    까기-결련-대한 이 정도 포지션으로 비슷하거든

     

    위대엔 그런 개념 없다니까

    차라리 본때뵈기. 글쓴이가 쓴 2,3번 개념의 본데 보이기 개념을 새로 만들었다 보는게 그럴싸하네

  • ?
    익명_70320262 2020.12.22 17:17

    결련은 결연 발음 그대로 한거 같음. 사전에도 결연이라고 나와있고 선조의 무술 체계에서도 결연택견이라고 나와있었으니깐. 근데 그게 뭘 뜻하는건지 의견이 분분한데.

    송덕기 할아버지는 인터뷰에서 호신술로 막 치고 한다고 하셨고 택견은 안배웠지만 어렴풋이 택견판을 본 김홍식 옹은 결련택견은 서로 겨루다가 사이가 나빠지면 다쳐도 책임 안지는 형식으로 진행했던거라고 하니깐.

     

    결련택견(결연택견)은 정확히 지금 결련협회가 주장하는 마을 간의 하하호호 하는 경기는 아니고 호신술 내지 택견을 험악하게 하는 것을 지칭하는 말이었을 것이라고 추정 가능함.

  • ?
    익명_04699689 2020.12.22 17:27
    @익명_70320262 에게

    김영만 선생님 텍스트처럼 석전 막판에 승부가 안 나서 왈자들 선별해서 마을 대표로 싸움 붙인 게 역사적 사실이라면, 그게 결련 택견일 경우 신한승 옹 텍스트와 결련 텍스트가 아귀가 맞을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함.

  • ?
    익명_82038752 2020.12.22 17:29
    @익명_04699689 에게

    ㅇㅇ 나도 자료 좀 살펴보니까 둘 다 맞을 수도 있을 것 같아. 패싸움+결연=결련태껸


Powered by RhymiX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