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44 추천 수 6 댓글 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9C조선은 프랑스의 사바테를 알았을까? (tistory.com)


A. Henry Savage Landor의 1895년 Prize fights의 기록이다.

 

사적안 싸움이 곳곳에서 많았던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주먹으로 싸우지만, 프랑스인과 마찬가지로 대회에서 무릎과 발도 많이 사용한다."

 

....

 

 

------------------------------------------------------------------------------------------------------------------------------------------------

 

저장소에서 나오던 이야기가 슬금슬금 딴 데에서도 보이네.

조선에선 사적인 싸움이 많았고, 대회에선 프랑스의 사바테와 마찬가지로 무릎과 발도 많이 쓴다, 라.....

 

이쯤 되면 걍 구한말 택견판은 현대의 격투기 경기에 가까웠다고 보는게 맞는 것 같다.

  • ?
    익명_42623498 2020.12.21 23:49

    자료가 모일 수록 ㅋㅋㅋ 경기설(서기 택견, 놀이문화 택견)은 웅앵웅이네

  • ?
    익명_16916334 2020.12.22 00:07
    @익명_42623498 에게

    걔들은 어차피 뭔 말을 해도 지금까지 해온 게 있어서 노선 안바꿀 거라 ㅋㅋㅋㅋ

  • ?
    익명_14120658 2020.12.22 02:19
    @익명_42623498 에게

    ㄴㄴ 택견의 양면 중 여태껏 외면되었던 한 면이 요새 부각되는 것 뿐이지 놀이 택견도 분명 존재했었고 소중한 문화유산인 건 매한가지다.

  • ?
    익명_07078579 2020.12.22 07:52
    @익명_42623498 에게

    ㄴㄴ 택견의 양면성이지. 어느 하나만 존재했다거나 그런건 아니고 명절날 하는 태껸판도 있었지. 애기들도 하던게 택견인데 ㅋㅋㅋㅋ 근데 태껸판이 지금 모 협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흐헤헿 하면서 경기만 해대던건 아니라는거지.

  • ?
    익명_34526257 2020.12.22 08:16
    @익명_07078579 에게

    근데 어린애들한 규칙이나 문화가 지금 것이랑 구성과 규칙이 같은 거란 보장이 있음? 위에 외국인이 기재한 방식으로 했을 가능성이 커보이는데? 그럼 놀이냐 뭐냐 굳이 현대에 따질거보다 아 택견하는구나 하면 되는거 아녀?

     

    https://youtu.be/7qRVY4r5ioc

     

    대상이 다른거지 큰 차이는 없을꺼라 보이는데? 

  • ?
    익명_69037287 2020.12.22 09:27
    @익명_34526257 에게

    아니 그러니까 송덕기 할아버지께서 어른들 데려다 놓고 애새끼택견 가르쳤겠냐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 큰 어른 되서 왜 자꾸 애새끼 택견에 집착을 하는건데ㅋㅋㅋㅋㅋㅋㅋㅋ

  • ?
    익명_69037287 2020.12.22 09:28
    @익명_34526257 에게

    뭔지 실체도 아는 사람 하나 없는 애새끼 택견은 왜 자꾸 찾냐고ㅋㅋㅋㅋㅋㅋㅋㅋㅋ

  • ?
    익명_42623498 2020.12.21 23:51 Files첨부 (1)

    "One of the characteristic sights in Cho-sen is a private fight."

    "They often-times disport themselves in witnessing prize-fights among the champions of different towns, or of different wards in the same town, and on these occasions large crowds assemble to view the performance."

    "The combatants generally fight with their fists, but, like the French, are much given to use their knees and feet as well in the contest."

     

    C280B0EB-C657-4DB8-AE9E-74C9833B0DB8.png.jpg

     

    누가 번역 좀 해도

  • ?
    익명_16916334 2020.12.21 23:58
    @익명_42623498 에게

    1번 . 조선에서 볼 수 있는 특징적인 것을 들 수 있다면 그건 사적인 싸움(Private는 은밀한 이란 의미이므로 결투로도 해석이 가능하며 떳떳하지 못한 내기도박 싸움이란 해석 또한 가능함)이다.

     

    2. 그들은 다른 마을간, 혹은 같은 마을에서 각기 패를 꾸려 상품이 걸린 경기를 열고 그것을 흥겹게 즐기는 모습을 자주 보이며, 만약 경기가 벌어졌을 경우 그 경기를 구경하기 위해 많은 관중들이 몰려든다.

     

    3. 싸움은 주로 주먹 위주의 형태를 보이지만, 경기에서는 마치 프랑스인들 처럼, 조선인들은 무릎과 발차기를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수기와 족기를 다같이 쓴다는 말로 보임). 

  • ?
    익명_57420689 2020.12.21 23:54

    모 무술 평론가님께선 돌려차기가 프랑스에서 동양으로 전수된 거라 하시던데... 난 잘 모르겠지만... 그렇다더라

    진짠지 모르겠고.....

  • ?
    익명_16916334 2020.12.22 00:05
    @익명_57420689 에게

    도랏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프랑스 뽕에 미쳐버리셨나. 누구임 그거? 근거는 대체 뭐고? ㅋㅋㅋㅋ

  • ?
    익명_90718429 2020.12.22 01:07
    @익명_16916334 에게

    하누맛스쿨 원장님.

  • ?
    익명_69037287 2020.12.22 01:44
    @익명_90718429 에게

    아유 우리 철기의 정신적 지주.

  • ?
    익명_16916334 2020.12.22 07:36
    @익명_69037287 에게
    {@sticker:11328|11329}
  • ?
    익명_16916334 2020.12.22 07:26 Files첨부 (1)
    @익명_90718429 에게

    1714ac9665313f651.png.jpg

    허미 ㅁㅊ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양반 옛날에 택견 했었지 않음? 그런데 그런 주장을 한다고?

  • ?
    익명_69037287 2020.12.22 09:29
    @익명_16916334 에게

    택견 하기는 무슨ㅋㅋㅋㅋㅋㅋㅋ

  • ?
    익명_90718429 2020.12.22 17:29
    @익명_16916334 에게

    가라데 돌려차기가 사바테에서 훔쳐왔다는 내용 영상 공유하면서 모든 동아시아 무술의 돌려차기의 기원은 사바테일 것이라고 주장하더라.

     

    엘랑 뽕보다는 가라데+기술 훔쳐오기 뽕 제대로 받아서 그런 소리 하는 듯.

  • ?
    익명_14120658 2020.12.22 17:53
    @익명_90718429 에게

    그럼 사바테 돌려차기는 어디서 왔대? 택견에서 온 건가ㅋㅋㅋㅋㅋㅋㅋㅋ

  • ?
    익명_90718429 2020.12.22 20:32
    @익명_14120658 에게

    영상 주장으로는 펜싱 결투가 금지돼서 발을 칼 대신 쓰다가 자연발생했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그거 보면서 그렇다면 기존에 이미 맨손 맨발로 싸우던 무술에서 같은 기술이 자연발생하지 못할만한 이유가 딱히 있나 싶더라.ㅋ

  • ?
    익명_16916334 2020.12.22 18:14
    @익명_90718429 에게

    말 그대로 썰일 뿐이네 ㅋㅋㅋ 근데 그걸 진지하게 믿는 건 또 뭐냐 ㅋㅋㅋㅋㅋㅋ

  • ?
    익명_07078579 2020.12.22 07:55
    @익명_57420689 에게

    프렌치뽕 ㄷㄷ


Powered by RhymiX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