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느낌이 다른지 이제 좀 알 것 같음.

 

https://youtu.be/oX5c-EQ8L0o

 

기록영상에 남은 송덕기 옹의 품밟기를 비롯한 움직임을 보면 일관적으로 보이는 특성이 있음. 바로 기본적인 보폭을 절대로 넓게 잡지 않으려고 하신다는 거임. 단순히 노환이어서 작게작게 움직이는 거라 할 수도 있겠지만 나아가면서 발차기를 하려 하실 땐 또 확실하게 보폭을 넓게 잡으면서 다리를 쭉쭉 올리심. 즉 송덕기 옹이 보폭을 작게 유지하는 것은 노환 때문이 아니라 송덕기 옹의 의도적인 움직임이라고 해석하는 게 보다 올바르지 않나 함.

 

https://youtu.be/x5y6SgXtW9g

 

실제로 송덕기 옹의 그런 모습을 이 영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택견의 손질 관련 영상들이고, 송덕기 옹께서 적극적으로 움직이시면서 공격을 하는 게 아니라 상대 시연자의 공격을 카운터 치는 식의 진행이긴 하지만 여기에서도 상대를 붙잡아야 하거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체중을 아래로 깔아야 하는 상황이 아니면 두 다리 사이의 거리가 절대로 넓지 않게 유지하고, 또 잠깐 보폭을 넓혔다가도 곧바로 보폭을 작게 만드신다는 걸 알 수 있음.

 

반면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를 보면

 

https://youtu.be/ls_e6RYsJ9E?t=416

https://youtu.be/3rYShPU3_oE

 

품을 밟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양 발 사이의 보폭이 넓고 체중이 앞으로 쏠려서 무릎에 실린다는 것을 확인 가능함. 이건 위에서 언급한 송덕기 옹의 품밟기와 완벽하게 반대되는 모습임. 송덕기 옹의 품밟기는 절대로 무게가 앞으로 쏟아진다는 느낌이 없는 반면에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는 다리를 넓게 벌려 무게를 앞으로 쏟았다가 그것을 회수하는 과정을 담고 있음.

 

흥미로운 건 이런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진 곳이 바로 대한택견회라는 점이었음.

 

https://youtu.be/7PWmREa8xus

 

이 영상은 대한택견의 품밟기를 익히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는데,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대한택견의 품밟기는 품을 밟고 그 끝에 허리를 집어넣었다가 다시 회수하는 동작이 들어감. 하지만 그 허리를 넣는 동작 이전단계의 모습을 보면 다리를 넓게 벌리고 뒷다리를 짚고 일어나 몸의 체중을 앞으로 쏟아낸다는 것을 알 수 있음. ㅇㅇ 맞음. 바로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임.

 

품밟기에 있어 두 협회의 차이점은 결련택견협회는 앞으로 쏟아낸 체중을 무릎을 굽혔다 펴는 것으로 회수한다는 것과, 대한택견회는 허리를 앞으로 넣었다 뒤로 빼는 것으로 회수한다는 것 이외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걸로 보임. 물론 통념상 한국택견협회 또한 보폭이 넓은 것으로 유명하지만 한국택견은 신한승 선생이 익히신 레슬링의 영향때문인지 태기질 싸움이 많아 몸을 낮추느라 체중 자체를 아래로 더 까는 느낌에 가까울 뿐 결련, 대한처럼 기초 품밟기부터가 체중을 앞으로 쏠리게 만드는 형태는 아님. 

 

https://youtu.be/dYrNkzK3Ik0

(실제로 0:55부터 나오는 정경화 선생의 품밟기를 보면 생각보다 보폭이 그리 크지도 않고, 체중이 앞으로 쏠리지도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음)

 

그럼 결련, 대한, 한국택견의 품밟기에 대해 비교를 해 봤으니 위대태껸의 품밟기를 봐야 할 차례일 것 같음.

 

https://youtu.be/Ndh5YQG_6S8

 

우선 기초 품밟기 영상임. 정면 영상이다보니 보폭의 넓고 좁음을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품을 밟을 때 생각보다 무릎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의외로 충주 정경화 선생의 품밟기와 비슷한듯?)는 걸 알 수 있음. 그렇다면 순수 품밟기를 제외하고 실제로 기술을 사용할 때 품이 어떻게 되는가를 봐야 할 것 같음.

 

https://youtu.be/5O6V4mweR3I

 

여기에선 좀 확실하게 나옴. 우선 분명한 건 위대태껸의 품밟기는 결련택견협회나 대한택견회처럼 체중이 앞으로 쏠리는 형식이 아님.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굴신 작용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보이지 않고, 그때문인지 품을 밟았다가 다리를 회수하는데 반박자 정도가 빠름(애초에 무릎에 무게가 실린 적이 없으니까). 흥미로운 건 영상 내내 보폭을 의도적으로 작게 유지하려는 형태가 일관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인데 이건 위에 올렸던 송덕기 옹의 시연 모습과 상당히 흡사한 모습이며 기본적으로 양 발 사이를 넓게 유지하는 성향이 강한 결련택견협회와 대비됨.

 

그리고 이러한 특징 때문인지, 현대 격투기에 적응하기 위해 품밟기를 도태시켜가고 있는 옛법택견과는 달리 가장 최근에 위대태껸이 올린 시합 영상을 보면 

 

https://youtu.be/g7nekEsHHUs

 

이런 식으로 보폭을 작게 유지하며 본인들의 품밟기를 사용하는 모습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결국 이렇게 영상자료로 나타난 모습만 보더라도 모 단체가 주장하는 것과 같이 위대태껸이 송덕기 옹의 택견이 아니라는 것은 억지에 가까운 게 현실인 것 같음. 오히려 품밟기만 분석하면 송덕기 옹의 움직임과 가장 흡사한 게 위대태껸이고 그 다음이 한국택견인데다 뱃심내기만 빼면 결련과 대한의 품밟기가 사실상 동일한 걸로 보이기 때문임.

 

개인적인 사견을 말하자면 이렇게 각잡고 분석을 해 보니 생각 이상으로 황당한 결론이 나왔다는 게 조금 쇼크임. 대한과 결련의 품밟기의 유사성이나, 충주와 위대의 유사성이나 둘 다 비교해 보기 전에는 몰랐었는데 대한과 결련의 품밟기는 둘째치고 아무런 연관이 없어 보이던 충주랑 위대의 품밟기가 오히려 결련-위대보다 비슷한 점이 크다는 게 많이 당황스러움.

 

어째서 이런 결론이 나온 건지... 혹시 그 이유에 대해 아는 사람이 있다면 알려 줄 수 있으면 좋겠음.

?
  • ?
    익명_97905294Best 2022.07.26 15:07
    수렴진화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생각난 건데, 도회장님 택견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준 분은 생각보다 꽤 많음.

    도회장님 증언에서 신한승 선생님이 나왔고, 대택과의 관계에서 이용복 회장님도 도회장님한테 영향줬고, 호주 최유근 선생님 증언에선 수벽치기 육태안 씨랑 녹색 택견책 저자인 박종관 씨 얘기도 나왔지. 결택의 품빼며 밟기는 육태안 씨 작품이고, 옆째밟기 앞째밟기는 박종관 씨 영향 받은 거라고.
  • ?
    익명_79151899Best 2022.07.25 20:10
    그리고 충주 품밟기가 생각보다 보폭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건 의외네. 내가 만나본 충주택견꾼들은 거의 대부분이 기본 보폭이 넓은 편이었는데;;;
  • ?
    익명_97905294Best 2022.07.26 01:47

    충주 품밟기가 생각보다 보폭이 크지 않은 이유 : 이러니 저러니 해도 10년 넘게 배우신 고용우 선생님이나 국가 이수자로 지정받아서 송덕기 옹께 1:1 전담 과외를 받은 이준서 선생님, 그리고 영상기록 남기느라 송덕기 옹의 동작을 대량 촬영한 김정윤 옹을 제외하면 송덕기 옹의 태껸을 가장 많이 '본', 거기다 그거 뭔지 육성으로 설명까지 들은 유일한 사람은 신한승 옹 정도임. 그러니까 그거 보폭이 크면 안 되는 거 자체는 뭔가 들은 게 있으시니까 알고 계시던 거.

    충주 택견꾼들 보폭이 넓은 이유 : 그런데, 말 그대로 보기만 한 거지, 배운 게 아니니까 그걸 어떻게 해야 작게 밟을 수 있는지는 모를 수 밖에 없던 거고, 거기서 자기 동작부터가 품밟기 삼각형 밟을 때 빼고는 보폭이 커진 게 문제였을 거라고 봄. 그걸 보고 배운 사람들도 당연히 그 동작 따라서 기본 보폭이 넓어질 수 밖에 없는 거고.ㅋ

  • ?
    익명_56907916Best 2022.07.26 16:40
    결련하는 새끼들 수준 ㅋㅋㅋㅋ 진즉에 손절치길 잘했노
  • ?
    익명_36877243Best 2022.07.26 07:58

    신한승 옹께서 송덕기 옹께 직접 설명을 들었기 때문이다...? 생각 못 해봤던 가능성이지만 굉장히 설득력 있네. 설명 ㄱㅅㄱㅅ

  • ?
    익명_79151899 2022.07.25 20:09
    자세한 분석글은 개추야.
  • ?
    익명_79151899 2022.07.25 20:10
    그리고 충주 품밟기가 생각보다 보폭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건 의외네. 내가 만나본 충주택견꾼들은 거의 대부분이 기본 보폭이 넓은 편이었는데;;;
  • ?
    익명_97905294 2022.07.26 01:47
    @익명_79151899 에게

    충주 품밟기가 생각보다 보폭이 크지 않은 이유 : 이러니 저러니 해도 10년 넘게 배우신 고용우 선생님이나 국가 이수자로 지정받아서 송덕기 옹께 1:1 전담 과외를 받은 이준서 선생님, 그리고 영상기록 남기느라 송덕기 옹의 동작을 대량 촬영한 김정윤 옹을 제외하면 송덕기 옹의 태껸을 가장 많이 '본', 거기다 그거 뭔지 육성으로 설명까지 들은 유일한 사람은 신한승 옹 정도임. 그러니까 그거 보폭이 크면 안 되는 거 자체는 뭔가 들은 게 있으시니까 알고 계시던 거.

    충주 택견꾼들 보폭이 넓은 이유 : 그런데, 말 그대로 보기만 한 거지, 배운 게 아니니까 그걸 어떻게 해야 작게 밟을 수 있는지는 모를 수 밖에 없던 거고, 거기서 자기 동작부터가 품밟기 삼각형 밟을 때 빼고는 보폭이 커진 게 문제였을 거라고 봄. 그걸 보고 배운 사람들도 당연히 그 동작 따라서 기본 보폭이 넓어질 수 밖에 없는 거고.ㅋ

  • ?
    익명_36877243 2022.07.26 07:58
    @익명_97905294 에게

    신한승 옹께서 송덕기 옹께 직접 설명을 들었기 때문이다...? 생각 못 해봤던 가능성이지만 굉장히 설득력 있네. 설명 ㄱㅅㄱㅅ

  • ?
    익명_57349201 2022.07.26 10:34
    난 그것보다 대한택견이랑 결련택견의 품밟기가 동작 하나만 빼고 동일했다는 게 더 충격인데...
  • ?
    익명_36877243 2022.07.26 12:09
    @익명_57349201 에게
    ㅇㅇ 사실 나도 깜짝 놀람. 충주-위대의 품밟기만큼은 아니었지만 절대 같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던 협회들 중 하나였는데 똑같더라고;
  • ?
    익명_52925880 2022.07.26 12:55
    뭔 개소리들이 이래 활발하지 ㅋㅋ 결련 위대는 송덕기옹이랑 비슷하고 대택은 좀 다르다 이정도면 충분하다
    보폭의 넓고 좁음은 걍 케바케 사바사로 보면되지. 그리고 많이하다보면 결국 승리하기에 최적화된 형태로 나타나는거다
  • ?
    익명_36877243 2022.07.26 13:32
    @익명_52925880 에게

    흠.. 님 눈엔 송덕기 옹께서 품을 밟으시는 위의 영상이 지금 결택이 하는 것 마냥 체중을 앞으로 깔아서 스스로 제 발을 묶었다가 풀었다가 하는 걸로 보이나 본데, 팩트는 어떻게 돌려봐도 송덕기 옹 품밟기랑 결택 품밟기가 상이하고, 오히려 충주의 품밟기가 결택보다 송덕기 옹이랑 더 비슷한 상황임. 그런데 이걸 아무튼 비슷하다고 뭉개고 가자고?

    거기다 저 품밟기의 보폭 문제 때문에 위대랑은 다르게 옛법택견에서 품밟기가 아예 못 나오는 상황인데 그걸 가지고 케바케라면서 애써 외면하는 건 뭐임. 아닌 말로 품밟기 안 하는 게 택견이기는 함? 님이 말하는 최적화라는 게 택견의 정체성인 품밟기를 버리는 걸 말하는 거면 ㅇㅈ하겠음. 그건 아예 택견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는 거고, 그 부분에 있어 난 님의 생각을 존중함.

     

    그런데 그게 아니라 품밟기가 택견의 정체성이라고 마찬가지로 생각하고 있다면, 왠진 모르겠지만 결련택견의 품밟기가 송덕기 옹의 품밟기보다 오히려 대한택견에 닮아 있다는 건 시사하는 문제점이 매우 큼. 하다 못해 충주보다 비슷하기라도 했다면 모를까, 송덕기 옹의 유일한 후계자라고 자칭까지 했던 사람의 품밟기가 태권도를 택견으로 둔갑시킨 협회의 품밟기와 개념적으로 사실상 동일했다는 이야기인데 이게 과연 정상으로 보임?

  • ?
    익명_52925880 2022.07.26 13:56
    @익명_36877243 에게
    일단 대택이랑 결택은 품밟기 다른게 확연하고 결택이나 위대 충주는 보폭이나 그런것들이 세세하게는 달라도 비슷하다라는 느낌이 있음

    그리고 걍 경기에서 이기기 위해서 필요한 형태로 스텝이 나오는거지 꼭 결택이 보폭이 넓어서 옛법택견에서 품밟기가 안나온다는 주장은 억지스런 주장이야

    애초에 도기현이 보폭을 넓게 잘못배웠어도 사람들이 붙어보다보면 좁은게 더 낫다고 하면 그쪽으로 수렴진화하겠지 안그래?

    굳이 도기현이 자기는 보폭 넓게배웠다고 넓게만 하라고 가르치겠냐
  • ?
    익명_36877243 2022.07.26 14:08
    @익명_52925880 에게

    대택이랑 결택이 품밟기 다른 게 어디가 확연함? 둘 다 체중 앞으로 이동시켜서 짭런지 하는 것 같은 자세 취하다가 한쪽은 무릎 굴신으로 체중 회수하고 다른 한쪽은 허리 튕겨서 체중 회수하는데 이게 확연하게 다른 거임? 미안한데 님이 결택이랑 비슷하다고 말하는 위대랑 충주의 기초 품밟기를 보면 대한과 결택이 하는 것처럼 체중을 무릎에 안 실음. 영상 몇 번 돌려보면 알겠지만 위대가 충주에 비해 좀 더 깔리는 느낌이 있는 거 제외하면 결련보단 오히려 충주와 흡사한 형태임.

    그리고 말 잘했네. 사람들이 붙어보다 보면 수렴진화 한다고 했지? 그럼 지금 결택의 품밟기는 어떤 환경에서 수렴진화 했을 것 같음?

    그 답이 여기 있음. 도기현 회장님의 원형택견이라고.
    https://youtu.be/TchvRba2sdw

    다다미 두 장 넓이 경기장에서 해서 뒤로 물러서면 반칙이라, 한 자리에서 못박혀서 치고 넘기는 형태. 당장 여기서 마스터황 본인 입으로 원형택견에서 출발한 게 결련택견 협회 품밟기라 옛법택견 이전에 택견배틀에서도 원래의 형태로 못 쓴다고 증언하고 있음. 택견배틀에서도 온전히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더더욱 옛법택견에서는 못 쓰는 게 결련택견 협회의 품밟기라고 말임.

    님 말대로 원형택견(그게 진짠지 뭔지도 모르겠지만)에 맞게 수렴진화 한 게 지금의 결련택견 협회의 품밟기일텐데 정작 위대, 충주의 영상들을 보면 다 넓은 공간에서 잘만 품밟기 하면서 움직이던데? 그것도 송덕기 옹의 품밟기와 거의 유사한 모습으로?

  • ?
    익명_36877243 2022.07.26 14:14
    @익명_52925880 에게

    왜 도기현 회장님의 품밟기만 위대, 충주의 품밟기와 체중을 싣는 방법이 상이하고 왜 도기현 회장님의 품밟기만 매우 좁은 경기장에서밖에 쓸 수 없음? 수렴진화? 무슨 수렴진화를 전가의 보도라고 생각하나본데, 동일한 논리로 따져보면 애초에 도기현 회장님이 본인의 품밟기를 누구와 수렴진화를 시켰을지는 생각은 해 봄? 도기현 회장님이 결련택견 협회를 세우기 이전까지 몸 담았던 곳은 이용복 총사의 대한택견협회임.

    아, 정답 나왔네. 대한택견협회. 그럼 이제 납득이 가지.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가 대한택견협회의 품밟기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이유 : 대한택견과의 수렴진화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가 주먹 타격이 들어가는 경기에서는 쓰지 못하는 이유 : 대한택견과의 수렴진화

    ㄹㅇ 이거 맞는듯. 님이 키워드 던져준 덕에 마침내 퍼즐이 풀림.

  • ?
    익명_36877243 2022.07.26 13:54
    @익명_52925880 에게

    내가 이번에 이 글을 쓰면서 충격을 받게 된 건 지금까지 송덕기 옹의 품밟기라고 생각했던 결련택견협회의 품밟기가 실은 위대는 커녕 충주보다도 송덕기 옹의 품밟기를 담지 못하고 있었다는 거였고, 일말의 관계조차 없다고 생각했던 충주택견과 위대태껸의 품밟기가 실은 유사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는 사실이었음.
    그리고 위대는 입식 타격에서도 품밟기를 계속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옛법택견은 아예 도태시키는 방향으로 나가야 했는지에 대한 답변이기도 한 게 바로 이 주제임.

    님 말마따나 개소리로 취급하고 가볍게 넘길게 아니라 이거임. 진지한 검증과 분석이 뒤따라야 하고, 필요하다면 수정까지 들어가야 하는 일에 가까움. 아니, 다 떠나서 송덕기 옹의 후예를 자칭하는 단체가 송덕기 옹의 품밟기를 안 하고 있는 상황인 건데 문제의식을 아예 못 느끼는 건 대체 뭔지...

  • ?
    익명_57349201 2022.07.26 14:33
    @익명_52925880 에게
    영상이랑 분석 보니까 결련이랑 위대랑 아예 품밟기에 대한 개념적 접근이 다르고 쓰니 말처럼 위대는 오히려 충주랑 더 유사한 것 같던데...? 영상들은 보고 댓글 단 거임?
  • ?
    익명_56907916 2022.07.26 16:40
    @익명_52925880 에게
    결련하는 새끼들 수준 ㅋㅋㅋㅋ 진즉에 손절치길 잘했노
  • ?
    익명_97905294 2022.07.26 15:07
    수렴진화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생각난 건데, 도회장님 택견에 이론적으로 영향을 준 분은 생각보다 꽤 많음.

    도회장님 증언에서 신한승 선생님이 나왔고, 대택과의 관계에서 이용복 회장님도 도회장님한테 영향줬고, 호주 최유근 선생님 증언에선 수벽치기 육태안 씨랑 녹색 택견책 저자인 박종관 씨 얘기도 나왔지. 결택의 품빼며 밟기는 육태안 씨 작품이고, 옆째밟기 앞째밟기는 박종관 씨 영향 받은 거라고.
  • ?
    익명_57349201 2022.07.26 15:21
    @익명_97905294 에게
    그랬음? ㄷㄷ 그냥 혼종에 가까웠던 거네;

Powered by RhymiX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