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거에는 그게 일상복이었으니까 입었던 거고, 거기에 전통이라는 의미부여를 한 것 자체가 근대적인 발상인 거 아닐까?

 

그 복장이 기술에 어떤 영향을 준다면 모르겠지만 알려진 바로는 딱히 그런 관련성은 없는 거 같은데..

 

유도는 깃이 있어야 해서 그 형태가 유지되지만 주짓수는 사실 이제 래쉬가드 입고하는 노기 주짓수가 더 활성화 되는 거 같더라

 

김삿갓도 현대에 왔으면 후드 썼을 거라는 게 내 생각이야

 

그렇다면 택견 기술에 맞는 경기장이나 복장이 새로 고안되는 게 나을 수도 있지 않을까? 물론 실용성을 철저히 고민해서 말이지

?
  • ?
    익명_62311312 2023.03.17 23:45
    냉정하게 말해 실용성만 따져서 한복을 벗어난 형태로 도복을 만드는 건 이점이 없다고 봄.

    일단 첫 번째로 내적이든 외적이든 보수적인 시선의 사람들에게서 쇄도할 부정적 반응을 감수해야 함. 당장 태권도가 경기 바지를 편의를 위해 쫄쫄이식으로 바꿨다가 부정적인 반응이 미친 듯이 터져나왔는데, 하물며 더 깐깐하게 보일 택견은 어떻겠어.
    두 번째로 마케팅적인 면에서도 스스로 이점을 내다버리는 행동임. 택견은 무술로서의 가치도 높지만 문화재나 전통 문화라는 점도 큰 이점으로 작용하는 걸 부정할 수 없음. 문화재 보존이라고 지나치게 경직된 태도로 바라보는 것도 옳지는 않지만, 문화로서의 측면을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면 이용하는 것도 필요하지.

    뭣보다 경기가 아니면 지금도 스파링할 때는 적당히 티셔츠에 도복바지 정도로 편하게 입고 하는 만큼 굳이 새로 만들 필요가 없을듯

Powered by RhymiX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