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택견은 생각보다 더 군용무술에 가까웠을 것으로 보인다.

익명_928771
442 2 27

https://www.taekyun.org/posts/column/28

 

옛날에 도기현 회장이 무카스에 기고했다는 글에서 본인의 고교 은사 아버지가 택견꾼이었다는데 증언에 따르면,

 

택견은 사대문 안팎에서 민중들에 의해 널리 행해진 놀이가 아니라 경복궁 서쪽의 훈련도감터~태평로(광화문에서 남대문까지)~남산 일대~훈련원 일대의 무반 한량 등 중인 이상 계급이 즐기던 고급문화였다함.

 

https://taekkyeon.net/column/11525?page=2

 

그리고 윗대태껸 공현욱 관장이 쓴 칼럼의 옛 한양도성 거주지 분석에 따르면 태껸의 윗대와 아랫대는 딱 5군영+훈련원과 하급 무관들 거주지와 겹치는 것으로 나오는데 위의 도회장 고교 은사 증언과 교차검증된다.

 

그러니까 그 윗대 아랫대란 용어가 단순한 윗마을 아랫마을이 아니라 '군인 마을'에 한정되었다는 거...

 

이런 걸 보면 택견 경기가 마을과 마을 간의 놀이축제라면서 왜 서울 청계천 부근에서만 보이고 전국적으로 안 보였는지도 이해가 되고...

 

무엇보다 이게 함축하는 바는 택견이 생각보다 더 민간무술보다는 군용무술에 가까웠을 거란 거지.

 

지금까지 생각되어온 택견 향유층은 군인 30%, 민간 70% 정도였는데 실제로는 군인 비율이 80, 90%까지 올라간달까.

 

민간무술에서는 상당히 흔하고 군용무술(ex:쌍수도, 예도총보)에서조차 간간히 보이는 퍼포먼스성 아크로바틱한 동작들이 택견에 거의 없는 것도 실전 군용무술의 풍격을 뒷받침한다고 봄.

 

그럼 명백히 제식이었던 무예도보통지 권법은 대체 뭐냐? 싶을 텐데 통지 권법은 무기술을 위한 체조일 뿐이라 실전 격투용으로는 좆무쓸모이고 무예도보통지 시점에서도 많은 기술들이 빠지거나 변형해서 수행되고 있다고(=나이롱으로 하고 있다고) 적혀 있음.

 

애초에 무예도보통지가 조선군 무술의 100%가 아님. 기록은 됐는데 군영에서는 안 하는 무술도 많고, 거꾸로 군영에서는 하는데 기록이 안 된 것도 있고. 무예도보통지 자체가 구한말 시점에선 150년이나 된 오래된 교범이라 실무 현장과의 괴리도 상당했을 게 뻔하고.

 

통지권법과 택견의 관계는 현재 국군에서 품새만 대충 하는 군대태권도랑 특수부대용 크라브마가 or 무사트 같은 CQC의 관계와 비슷했을 것으로 보임.

 

'군영 기록에서 택견이나 탁견이 언급되는 경우가 적지 않냐?' 할 수도 있겠지만 그 권법이나 수박, 각저 했다는 기록들이 택견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음.

 

왜냐하면 조선군이 이름을 존나 대충 불렀거든. 군영등록 보면 명백히 무기술인 편곤이랑 곤방도 맨손권법이랑 싸잡아서 '권법'으로 부르고 있질 않나... 쌍수도도 용검(用劍, 칼 쓰는 방법)이라고 대충 부르거나.

 

물론 택견이 제식으로 채택되었다기보단 실질적으로 제식이나 다름없이 훈련도감과 군영에 들어온 자는 누구나 익히는 준제식 같은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신고공유스크랩

한달이 지난 게시글은 로그인한 사용자만 토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공유

퍼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