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좀 기분 나쁜 말일지도 모르겠지만 꼭 해줘야 할 거 같아서 말 해줌

익명_85304950
401 5 3

 

의욕이 넘치는 것도 좋고, 택견을 그만큼 생각하는 것도 고맙지만 결국 해줄 수 있는 말은 태질 관련한 규칙이 바뀔 필요가 있다, 혹은 금지규정을 추가해야 한다, 이런 게 다 의미 없는 주장이란 것임.

 

왜냐하면 애초에 택견을 실제로 배워보지 않는 이상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택견 시합의 모습이란 허상밖에 안 되기 때문임.

 

택견을 배우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걸 이용해서 싸우는 형태가 어렴풋하게나마 머릿속에서 그림이 그려짐.

 

이건 어느 무술을, 격투기를 하던 공통적으로 겪는 과정이고, 그렇기에 상호간의 안전 문제를 담보하기 어렵다던가(급소 공격 기술, 무기술), 수련생들의 수준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부러 몇몇 기술은 빼둔다던가 하는 이유가 아니라면 그 무술의 수련자가 만드는 대련 규칙은 위의 과정을 거쳐 자연스럽게 해당 무술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지게 됨.

 

세간엔 룰이 무술의 형태를 정의한다는 말이 반박불가의 진실처럼 퍼져 있는 모양이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그건 오랜 스포츠화를 걸친 현대 무도 스포츠에나 해당되는 것일 뿐, 현대 무도 스포츠의 경기 룰의 뿌리는 결국 해당 무도 스포츠의 근본이 된 무술이 본래 싸워온 형태를 구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게 팩트임.

 

즉, 기술(무술)이 있고 경기가 있을 수 있는 법이지 그 반대의 경우가 과연 몇이나 성립하겠느냐는 것임.

 

이상적인 경기의 양상? 그건 우선 기술을 다 익히고 몇 번이고 사용해 본 다음, 어떤 부분에선 이 기술을 잘 안쓰게 된다던가. 큰 기술 흐름에 잔기술이 다 먹혀버려서 생각보다 사용하기 어렵다던가 하는 식의 검증과 고찰의 과정을 걸친 다음 생각해봐야 할 문제지, 그 과정을 걸치기도 전에 "어떤 것에 페널티를 주자!" "무엇을 금지하자!" 하는 식으로 선 금지를 때려버릴 문제가 결코 아니라는 소리임.

 

이거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니까 자꾸 말이 길어지게 되는 거임 . 

 

여기까지 읽었는데도 도무지 납득하지 못하겠다면 위의 선 금지, 선 페널티의 과정을 겪고 나온 경기들의 형태가 대한택견의 경기와 결련택견의 택견배틀이었다는 걸 떠올리면 될 것임.

 

그리고 발팬싱으로 그렇게 조롱받는 스포츠 태권도의 경기 형태조차 올림픽 종목으로 남기 위해 여러 제약들이 더해진 것을 제외하면 초창기 태권도 스파링의 형태와 사실상 같으며, 무술로서의 태권도를 배운다 한들 스파링에 들어가면 정말 자연스럽게 경기 태권도와 비슷한 모습으로 싸우게 된다는 사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찬찬히 생각해 보는 것을 추천함.

 

신고공유스크랩

한달이 지난 게시글은 로그인한 사용자만 토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공유

퍼머링크